득근한 득구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득근한 득구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48)
    • 내배캠 (29)
      • Chapter1 (5)
      • Chapter2 (9)
      • Chapter3 (8)
      • Testy Pie(최종 프로젝트) (2)
      • 작업물 (5)
    • 개인 공부 (17)
      • 복습 (1)
      • 코딩 테스트 (11)
      • 개념 정리 (3)

검색 레이어

득근한 득구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TIL#35] 개념 정리] RESTful

    2024.04.15 by DK9

  • [TIL#34] 개념 정리] 객체 지향 프로그램

    2024.04.08 by DK9

  • [TIL#33] 개념 정리] DI, IoC

    2024.04.07 by DK9

  • [TIL#32-2] testyPie] CICD를 위한 세팅

    2024.02.13 by DK9

  • [TIL#32-1] TestyPie] S3 세팅하기

    2024.01.12 by DK9

  • [TIL#31] Study] Github Action을 이용한 CI

    2024.01.10 by DK9

  • [TIL#30] Study] RDBMS vs NoSQL

    2024.01.08 by DK9

  • [TIL#29] 가을에 시작한 Spring <시간을 (Timestamp, LocalDateTime) Json 으로 request, response 하기>

    2024.01.03 by DK9

[TIL#35] 개념 정리] RESTful

1. 들어가며 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RESTful 하게 API를 짜주세요'라는 요구를 들었을 때, 참으로 막연했다. 구글링을 하며 프로젝트를 완성하고 평가받을 때, 'API를 RESTful 하게 짜주신 점이 좋았습니다.'라는 피드백을 받았을 때, 뭐가 RESTful 한 건지 도무지 몰랐다. 이제 어느 정도 정리가 된 이 시점에서 레퍼런스를 참고하여 기록하고자 한다. 2. REST 1) REST란 REST의 정의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대표적인 상태 전달)"의 약자 월드 와이드 웹(www)과 같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아키텍처의 한 형식 REST는 기본적으로 웹의 기존 기술과 HTTP 프로토콜을 그대로 활용하기 때문에 웹의 장점을 최대한 활..

개인 공부/개념 정리 2024. 4. 15. 18:08

[TIL#34] 개념 정리] 객체 지향 프로그램

1. 들어가며필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객체라는 개념을 숙지하고 객체들을 몇몇 특징과 SOLID원칙에 맞게 프로그래밍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들어가기에 앞서 객체라는 것을 간략히 설명하겠다. 2. 객체란?객체는 상태와 행위로 나눠볼 수 있다.객체객체는 포괄적인 개념을 지칭한다. The Thing, Object.예시로 자동차라는 개념을 떠올릴 때 연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의미한다.상태해당 객체의 속성을 지칭한다.자동차가 어떤 외형인지, 어떤 상태인지, 어떤 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코드 상에서는 필드로 표현된다.몇몇 속성은 행위로 인해 결정되는 경우도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속도, 움직임이 없는 객체는 속도라는 상태가 필요 없다.행위해당 객체의 기능을 지칭한다.자동차가 가지고 ..

개인 공부/개념 정리 2024. 4. 8. 21:52

[TIL#33] 개념 정리] DI, IoC

1. 들어가며 이전의 TIL에서 DI와 IoC에 대해서 정리를 했었지만, 그때보다 개념이 좀 더 확실하게 잡혀서 다시금 기록하려고 한다. 2. DI 와 IoC 1. IoC 현실에서의 패키지여행이라는 예시로 설명해 보겠다. 패키지여행에서 손님의 역할은 관광이다. 패키지여행을 신청하면 언제, 어떤 곳을 갈지, 어떤 식당을 갈지 등 모든 일정은 여행사가 제공해 주는 것을 따라야 한다. 손님은 여행사에게 여행을 맡기고 온전히 관광에 집중하면 된다. 여행사라는 별도의 설정자를 통해 일정을 주입받고 오롯이 관광에 집중하는 것이다. 이렇듯 클라이언트(손님)가 여행을 직접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여행사)이라는 외부에서 여행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이 바로 제어의 역전 IoC이다. 2. DI 그런데 위에서 말한 일정..

개인 공부/개념 정리 2024. 4. 7. 22:26

[TIL#32-2] testyPie] CICD를 위한 세팅

사용 환경 Spring boot 3.2.1 Java 17 GitHub Actions EC2 RDS Docker DockerHub MobaXterm 1. 들어가며 작업의 순서(=파이프 라인)는 다음과 같다, EC2, RDS 생성 MobaXterm 세팅 EC2 에 Docker 설치 Java 파일에 GitHub Actions workflows 작성 CICD 단계에서 .jar Docker Image 만들고 그것을 DockerHub로 업로드 EC2의 Docker에서 DockerHub 로 올라간 Docker Image 다운 EC2에서 다운로드한 Docker Image 실행(= Container 실행) 배포 끗 이번 글에서는 기초 3번까지의 작업을 서술하고자 한다. 2. 기초 세팅 1) EC2 생성 AWS를 가입했다..

내배캠/Testy Pie(최종 프로젝트) 2024. 2. 13. 11:03

[TIL#32-1] TestyPie] S3 세팅하기

들어가기에 앞서 AWS에서 S3 생성과 관련 작업들은 생략하고 코드 부분만 집중적으로 보겠다. 1.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starter-aws:2.2.6.RELEASE' } 의존성을 추가한다. 2. .properties 혹은 .yml # S3 cloud.aws.region.static= ap-northeast-2 cloud.aws.s3.bucket= testy-pie cloud.aws.stack.auto=false cloud.aws.credentials.accessKey= 여기 엑세스키 cloud.aws.credentials.secretKey= 여기 시크릿키 S3관련된 설정을 추..

내배캠/Testy Pie(최종 프로젝트) 2024. 1. 12. 09:57

[TIL#31] Study] Github Action을 이용한 CI

Github Action(이하 Action)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Repository 가 필요하다. Action 탭에 들어와서 프로젝트에 맞는 상황을 선택한다. 그러면 알아서 기본 틀을 작성해준다. 이를 바탕으로 몇 가지들을 추가 작성한 현재의 CI.yml 이다. name: CI on: push://아래의 job들을 실행할 상황을 정한다. 개인프로젝트라 푸시할 때만 하도록했다. branches: main permissions: contents: read jobs://위에서 정한 상황에 실행할 작업들을 설정한다. build: runs-on: ubuntu-latest//ubuntu 최신버전에서 작업을 하며 steps://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 uses: actions/checkout@v3//소스코드로..

개인 공부 2024. 1. 10. 09:01

[TIL#30] Study] RDBMS vs NoSQL

1. RDBMS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의 약자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키(key)와 값(value)들의 간단한 관계를 테이블화 시킨 매우 간단한 원칙의 전산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RDBMS데이터 베이스에 데이터를 열(Column)과 행(Row)의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테이블 형태의 스키마를 지켜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RDBMS는 Oracle사의 Oracle, Microsoft사의 MS-SQL Server, Oracle사의 MySQL, IBM의 DB2 등이 있다.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를 다루기 위한 언어를 SQL 이라고 한다. 장점 정해진 스키마에 따라서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명확한 데이터 구조..

개인 공부 2024. 1. 8. 09:09

[TIL#29] 가을에 시작한 Spring <시간을 (Timestamp, LocalDateTime) Json 으로 request, response 하기>

1. Timestamp, LocalDateTime 간략하게 둘을 비교하자면, 둘 다 시간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을 가진 데이터 타입이다. 표기할 수 있는 시간의 범위와 표기 형태가 자잘하게 다르지만 Timestamp와 Datetime의 가장 큰 차이점은 timezone의 정보의 유무이다. 2. 직렬화(=Serialization), 역직렬화(=Deserialization) '직렬화(=Serialization)' 는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림에 쓰기 위해 연속적인 데이터 형태로 바꾸는 것이다. 직렬화 사용이유는 객체 자체를 영속적으로 보관할때 사용하는데 파일형태로 저장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이 가능합니다. 반대로 데이터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객체를 생성하는 것은 '역직렬화(=Deserializatio..

내배캠/Chapter3 2024. 1. 3. 10:48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2 3 4 ··· 6
다음
TISTORY
득근한 득구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